애니, 만화, 영화 이야기



-설날 때 사촌 동생(사촌 동생이 공대생임-_-...)을 위해서 빅뱅 이론을 틀어줬는데, 어이없게도 옆에 있던 영상 이론과 학생(제 동생)이 더 좋아하게 되었다는 이상한 전개....뭐 하여간, 근래 열심히 달리고 있는 빅뱅 이론입니다. 감상을 이야기 하자면 진심으로 대학 생활에 대해서 환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잔디 밭에서 남녀들이 하하호호 뛰어노는 불건전한 캠퍼스 라이프 따위는 X까라 하고,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캠퍼스 라이프다'라고 이야기하고 싶을 정도의 작품입니다.

아니, 현실은 더 비참할지도(.....)


-엄밀히 이야기하면 공대생이 아니라, 이론 물리학자 3명+1명의 공돌이인데 그냥 문과생이 보면 고놈이 고놈(.....)

-근데 까놓고 이야기해서, 공대생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학과 박사들은 거의 다 저런 분위기죠, 뭐(.....)

-요즘 일본식 개그 만화라 할 수 있는 은혼도 같이 보고 있는데, 참 미묘합니다. 일본식 만담 개그와 미국식 시트콤이 묘하게 대비되더군요. 물론 웃는 빈도는 빅뱅이론이 높지만 은혼 자체가 나쁘다기 보다는 둘이 추구하는 지향점이 다르니까요.

-묘하게 보는 사람의 학력을 테스트(?)하는 드라마. 미국 오타쿠 개그에서부터 물리학, 천문학, 인문학 등을 이용한 비유가 수시로 등장합니다. 물론 대충 사람들이 알아들을만한 수준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별 무리 없이 개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케릭터들의 병신력이 상상을 초월하는지라, 그것만 보면서 웃어도 러닝 타임 20분을 다 채웁니다(.....)

-이건 한번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소재인데, 미국 드라마에 나오는 케릭터들은 상당히 '현실적'인 이미지를 과장하고 왜곡하는데,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케릭터들은 거의 대부분 현실 사회에서 아예 존재하지도 않을 법한 케릭터들이 많은 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미드 '몽크'에서 나오는 애이드리언 몽크는 정신병의 일종인 결벽증을 확대 재생산해서 은근히 현실성이 있는 케릭터인데 반해서, '삘리리 불어봐 재규어'에 나오는 재규어는 그 아스트랄함이 도가 지나쳐 이 세상에 정말 존재하지 않을 법한 케릭터죠. 물론 둘다 제가 상당히 좋아하는(?) 케릭터 이긴 하지만요.

역시 표현하는 매체에서 차이가 나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쉘든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케릭터군요. 세상에, 쿠르트 괴델이라도 젊었을 때, 저 정도는 아니었을겁니다.


...아니, 생각해보니까, 괴델이라면 가능했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