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이야기








나치를 죽이는 것은 일종의 '스포츠'가 되었다:마치 클래이 사격처럼, 일정한 서사(나치가 등장하고, 세계가 위험에 빠진다)와 함께 게이머는 모서리마다 튀어나오는 나치 군복을 입은 나치 군인들이나 하켄크로이츠를 이마에다 박아놓고 나 죽여줍쇼 하고 달려드는 표적들을 얼마나 정확하고 화려하며 빠르게 처리하는가를 테스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을 죽이는데 있어서 많은 질문을 던지지 않는 것이 게임 서사의 특징이라고는 하지만, 근래의 게임들이 '마땅히 죽여야 하는 적'에 대한 개념에 의문을 품고, 서사에 있어서 분명한 선악을 구분하는 것이 아닌 적마저 서사의 일부로 끌어들이는 복잡한 서사를 보여주는 경향이 생기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나치를 죽이는 것은 어떠한 서사의 설명도 절대적으로 필요가 없다:나치니까 죽여도 된다. 사람들은 나치 군복을 입은 허수아비를 죽이는 것에 대해서는 정말로 너그러울 정도로 어떠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물론 여기서 나치즘을 옹호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나치가 저지른 범죄는 전인류를 향한 적대행위이자, 파괴행위이다. 하지만, 과연 나치즘이 나치의 '군복'을 입은 자들과 하켄크로이츠의 기치를 내걸은 자들로만 '한정'지어서 볼 수 있을까?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재기하였던 문제들, 나치즘이 존속할 수 있게 어떠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은 평범한 인간들의 '악'의 문제라던가 나치즘이 본격적으로 전인류를 향한 전쟁행위로 이어지기 전, 유럽 전역에서 나치즘을 하나의 '해결책'으로 바라본 시각도 존재했다는 점 등등은 나치즘이 단순하게 하나의 군복, 상징으로 좁혀서 바라볼 수 없는 복잡한 문제임을 암시하는 지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울펜슈타인이나 다른 게임들이 나치즘을 특정한 군복과 상징을 입은 존재로만 한정짓는 것에 대해서 비판하고 싶지 않다:그것을 비판하려면, 단순히 게임을 넘어서 다양한 대중문화의 성향을 비판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문화를 위한 변명을 하자면, 상징과 군복이야말로 간편하게 적과 나를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기 떄문이다:타란티노의 바스타드-거친녀석들에서 이야기했던 것 처럼, '너희 나치들은 군복으로 구분이 가능하지, 하지만 군복을 벗고 있을 땐 누가 누군지 알 수 없단 말이야. 그래서 내가 이걸(이마에 하켄크로이츠 문신을 새기는 것) 하는 거지'처럼 군복과 상징이야말로, 아주 편리하게 기능하는 피아식별 장치이며 서사를 정당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흥미로운 지점이 있다:나치 군복과 상징을 걸치고 그것을 걸친 것만으로 쏴죽이는 것이 편리하게 정당화되는 '정당한 적'의 개념에 대한 믿음이 일종의 '정당한 전쟁'의 관념으로 이어지고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모든 윤리와 도덕은 정당한 적을 향한 폭력, 정당한 전쟁 앞에서 멈춘다. 단지 그런 표상을 걸친 것 만으로, 그들은 나치즘에 100% 동의하는건 물론 그것의 열렬한 신도자 대변자가 되는 것이다. 물론 아까도 이야기했듯이 게임 서사에 있어서 단순하게 흑백의 논리로 구분되지 않는 복잡한 적과 나의 관계가 게임을 지배하지만, 실제의 게임 플래이에서는 분명하게 쏴죽여야할 적과 지켜야하는 NPC 사이의 구분이 뚜렷하게 존재한다. 이렇게 본다면, 게임 규칙 내부의 '정당한 적'의 존재와 정당한 적과의 '정당한 전쟁'에 대한 감각은 게임을 지배하는 중요한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글은 '정당한 적과 정당한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며, 울펜슈타인 뉴 오더는 5/23 한국 정발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