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이야기


아마존이 넷플릭스 식의 스트리밍 게임 산업에 뛰어든다고 한다(기사 원문) 아마존이 AWS 등을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 사업에 있어서 부동의 1위라는 점, 이미 소니가 온라이브 등의 서비스를 인수해서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를 일부 진행해본 경험이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보았을 때, 클라우드 서버에 게임을 얹어놓고 스트리밍 형태로 쏴주는 사업은 이전부터 매력적이었다. 또한 패키지가 아닌 EA 오리진이나 PS+ 같이 '일정 기간 서비스를 구매하면 그 기간동안 게임에 접속할 수 있는' 구독형 서비스 같은 것들도 존재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형 게이밍 플랫폼 모델은 경쟁력이 있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누구나 폰으로 서버에 접속해서 위처 같은 고사양의 컴퓨팅 파워를 요구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스위치와 같은 애매한 성능의 기기는 사라지고, 자동전투와 같은 형태의 게임들도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가 성공한다면 게임 업계가 트리플 A라는 게임 문법 아래 완벽하게 통일될 것이다.


물론, 그런일은 일어나기 힘들 것이다. 분명, 온라이브 같은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가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도 지금 클라우드 게이밍 환경은 훨씬 더 좋아졌다. PS4를 서버처럼 활용해서 비타나 소니의 스마트폰 엑스페리아로 접속하여 게임을 스트리밍 한다던가, PC에서 대형 TV로 화면을 송출해주는 스팀 링크의 존재라든가, 엔비디아 타블렛 실드의 존재라던가 이미 늘어나는 컴퓨터의 숫자를 이용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구분하여 개인용 클라우드 게임 환경을 구축해보려는 업계의 시도는 많았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 서비스 플랫폼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이제 별도로 서버를 업체로부터 대여할 필요 없이, 전문가가 아닌 일반적인 사람들도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같이 엄청난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는 활동을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할 수 있다. 분명, 클라우드 게이밍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면 클라우드 서비스가 한층 강화되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이나 근미래가 가장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클라우드 게이밍이 게임 업계를 클라우드라는 깃발 아래 통일시키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먼저 클라우드 게이밍의 장점이 기존 게이밍 플랫폼이나 환경에 비해서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클라우드 게이밍의 장점은 콘솔이 아니더라도 모니터와 콘트롤러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게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어디서든지'라는 키워드에 우리는 초점을 맞춰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환상은 클라우드 게이밍이 실현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야외에서도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게이밍은 실내, 그것도 집 안에서 이루어진다:거치형/휴대형 콘솔의 하이브리드인 닌텐도 스위치의 경우, 유저 상당수가 스위치를 '집'에서 플레이한다고 밝혔다.(관련 내용) 닌텐도가 스위치를 언제 어디서나 게임 플레이 가능하다로 포장하기 위해 많은 마케팅 자본을 들이고 있는 것에 대비한다면 다소 놀라운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본다면 상당히 납득이 가는 결론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이동하거나 야외에서는 그나마 '덜 신경쓸 수 있는 활동'들을 즐긴다. 음악을 듣거나 뉴스를 보거나 동영상을 보는 등 이러한 행위들의 핵심은 그렇게까지 많은 집중력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일 것이다. 심지어 모바일로 진행되는 게임들의 대부분이 복잡하거나 정교한 조작없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동 중에 집중력있게 플레이하는 콘솔 게임이라는 개념은 일반적이지 않다. 심지어 한국과 같이 대중교통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경우도 그러한데, 미국과 같은 땅이 넓어서 자가용 자동차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하면서 게임을 즐긴다'라는 개념이 낮설게 느껴질 수 있다. 물론 콘솔 게이밍이 불가능한 실내 환경에서 언제라도 게임을 한다라는 관점에서 스위치는 강점이 있는 기기이기도 하다(레딧의 유저글 : 스위치는 트럭 드라이버를 위한 완벽한 콘솔이다)


다시 클라우드 게이밍으로 돌아와보자. 결국은 클라우드 게이밍이 경쟁해야 하는 대상은 아이러니하게도 실내에서 벌어지는 게이밍 플랫폼이다. 그것은 바로 전통적인 콘솔이나 PC와 같이, 이미 게임을 돌리기에 충분한 컴퓨팅 파워를 기진 기기들과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이 경쟁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기사에서는 '비싼 돈을 들여 콘솔을 살 필요 없이'라고 했지만, 정작 취미활동의 영역에 있어서 콘솔/PC 게임만큼 인프라와 자원이 적게 들어가는 취미활동도 없다. 특히 콘솔 게이밍의 핵심은 '적은 비용에 성능이 뛰어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기기를 공급하는 것'이며, 개발되는 게임의 대부분이 이 콘솔의 사양에 맞춰지기 때문에 엄청난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그렇기에 클라우드 게이밍은 '가격적으로 안정되어있고, 이미 그 기능을 충실히 잘 수행하고 있으며, 몇천만대가 깔려있으며 표준적인 플랫폼'의 홈그라운드에서 자신의 '언제 어디서나 플레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살리지 못하고 경쟁해야 하는 셈인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 어디서라도 플레이가 가능한것에 초점을 맞춰서, 클라우드 게이밍이 휴대용 게이밍이나 모바일 게이밍 시장을 석권할 수 있을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진 않다. 게이밍 환경에 있어서 사람들이 간과하지만 중요한 요소가 하나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화면의 '물리적 크기'(해상도가 아닌)일 것이다. 사람이 휴대하면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다. 이미 아이패드 수준만 되더라도 앉아서 들고 하기에 너무 부담되는 수준이며, 스위치의 경우에는 휴대 가능과 불가능의 임계점에 도달했다. 그러나 현대 트리플 A 게임들은 대부분 20인치 이상 거대하고 고해상도로 구성된 화면에서 즐기게끔 되어있다:디테일한 연출, 높은 해상도와 텍스처 등등은 작은 화면에서 본다면 오히려 가시성과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하고 만다. 조작 체계 역시 문제다. 기존 모바일 게임들이 복잡한 조작이 필요없는 이유는 터치스크린이라는 범용적이지만 제한적인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터치 스크린 위에 구현된 가상게임패드와 같은 걸로 게임을 하다보면 복잡하거나 정교한 조작을 하는 트리플 A 게임을 돌리는 것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물리적인 환경 측면에서 본다면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서버와 레이턴시의 문제다. 클라우드 플랫폼 게이밍의 경우, 영상 스트리밍과 달리 클라우드 서버에서 게임을 돌리고 영상의 형태로 플레이어에게 송출, 플레이어가 그 영상을 보고 조작을 하면 다시 서버에 조작을 보내주고 연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클라우드 게이밍 환경은 다이렉트로 입력되고 금방 결과가 나오는 콘솔과는 다른 입력 렉이나 지연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서버가 어디에 구축되었느냐, 회선은 어떤 것을 쓰냐 등에 따라서 게임 환경이 천차만별로 유동적일 수 있다:온라이브가 처음 등장하였을 때, 한국 내에서는 거의 플레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알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을 위한 데이터 센터가 늘어나고 회선이 개선된다면 나아질 수 있겠지만, 이는 클라우드 게이밍 플랫폼이 성공하고 나서 이후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넷플릭스의 성공이 물리적 환경이나 모바일 플랫폼을 선점한 것이 아닌, 독점력 있는 콘텐츠를 가졌기 때문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즉, 클라우드 게이밍 플랫폼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여기서 밖에 돌아가지 않는 게임'이라는 것이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모든 제반 환경들(기존 게이밍 환경보다 매력이 없음, 언제 어디서든지 플레이 가능하다라는 장점 살리기 힘든 현 게임 시장 구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레이턴시 등)을 고려하였을 때, 누가 선뜻 아마존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에서만 돌아가는 게임을 만들겠습니다 라고 선언할까? 이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클라우드 게이밍의 미래가 부정적이라던가, 혹은 현 게임 플랫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 단정지을 수는 없다. 오히려,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향에서 클라우드 게이밍은 게임 플랫폼 환경 자체를 크게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에 놓여진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조하는 형태의 게임이나 콘솔이 등장할 수 있다. 일례로 엑스박스 원 게임인 크랙다운 3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해서 엑스박스 원이 갖고 있는 연산 성능의 배가 되는 연출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물론, 콘솔 자체가 오프라인 환경이나 레이턴시가 높은 환경에서도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크랙다운 3의 게임 내 연출이 모두 게임 플레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결과가 어찌되든 크랙다운 3가 보여준 것은 이론적으로 '외부 클라우드 서버의 힘을 빌어 기존 콘솔의 컴퓨팅 파워를 능가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즉, 서버에서 모든 것을 처리하여 내보내주는 스트리밍이라는 개념을 포기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협업이라는 개념에서 바라본다면 클라우드 게이밍은 클라이언트의 연산 성능을 뛰어넘은 게이밍을 가능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트리밍과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협업의 차이점은 어찌되었든 컴퓨팅 파워를 가진 물리적인 플랫폼이 현실에 깔려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스트리밍은 극단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모든 컴퓨팅을 서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액정과 입력 패널만 있다면 어디에서라도 플레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동시에 서버에 의존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서버를 둘러싼 물리적인 제반환경들에 엄청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서버-클라이언트간의 협업 관점에서 본다면, 어쨌든 물리적인 기반은 클라이언트에 존재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없이도 어느정도 게임 내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에 비해서 레이턴시나 이런 부분들이 더 안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로컬의 기기가 어느정도 컴퓨팅 파워를 갖춰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또 역으로 생각해보자:근래 나온 아이패드 프로의 경우, 그 자체로도 이미 엑스박스 원 S 수준의 컴퓨팅 파워를 갖추었고, 대부분의 스마트폰들은 스위치보다도 더 뛰어난 컴퓨팅 파워와 스펙을 갖추고 있다. 사실, 이미 우리는 로컬에서 게임을 기본적으로 연산할 수 있는 물리적인 제반 인프라를 갖춘 셈인 것이다. 다만 문제는 그것을 기술적으로 어떻게 풀어낼지에 대한 부분이 합의되고 개발되지 않았을 뿐이다.


이는 많은 것을 의미한다. 우선 스마트 TV와 같이 어느정도 컴퓨팅 파워를 갖춘 기기에서 별도의 콘솔 구매 없이 언제 어디서라도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눈여겨 봐야할 점은 클라우드 게이밍이 콘솔 업그레이드나 세대 교체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위의 영상처럼 크랙다운 3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엑스박스 원의 성능을 뛰어넘은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면, 이후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추가적인 게이밍 콘솔을 구매할 필요가 있을까? 항시 연결된 환경이 필요하긴 하겠지만, 항시 연결되어있어야 구동 가능한 게임도 현재 시점에도 많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클라우드 게이밍은 주기적인 콘솔 기기 교체를 불필요하게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환경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여지껏 등장하지 않았던 추가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할 수 있다. 인터넷 인프라 환경의 재정의도 필요하다. 하지만 클라우드 게이밍의 존재는 새로운 플랫폼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현제 게임 플랫폼의 물리적 한계를 벗어던진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물건이 될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