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이야기



제노블레이드 2에는 블레이드를 가챠로 뽑게끔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게임 중 코어 크리스탈을 모으고 동조를 통해서 다양한 블레이드들을 모은다. 동조 전까지는 어떤 블레이드를 얻을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게임을 플레이할 때 큰 걸림돌이 된다. 고전적인 JRPG의 부활을 지향하였던 제노블레이드 2에서 이 가챠라는 존재는 다소 이질적이다. 가챠 시스템 자체는 2010년대 전후로 애플/안드로이드 앱 마켓 게임들이 급부상하기 시작하면서 게임 회사들이 내세운 '수익 모델'이기 때문이다. 제노블레이드 2는 많은 장점을 가진 게임이긴 하지만, 동시에 많은 문제를 가진 게임이기도 하며 가챠는 이러한 문제의 핵심에 놓여있는 요소다.


어떻게 가챠는 제노블레이드 2를 망가뜨리는가? 엄밀하게 이야기하자면 이미 시중에는 수많은 가챠게임들이 존재하고, 이들 모두가 망가졌다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챠 시스템의 문제는 게임에 필요한 요소를 '확률'로 제공한다는 데 있다. 강력한 요소일수록 확률적으로 얻기 희귀하며, 평범한 것들은 흔하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의 모든 것들이 확률에 의해서 움직인다면, 플레이어는 어떻게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목표를 향한 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 물론 많은 게임들이 불확정적인 요소로써 확률을 게임 내에 삽입하기도 한다. 멀리 가자면 TRPG에서 주사위가, 가까이 보자면 수많은 수학적 공식과 난수 발생기 위에 정교하게 세워진 게임 시스템들을 찾아볼 수 있다. 게임에 있어서 통제불가능한 난수 발생기이자 확률의 개념은 그렇게 놀라운게 아니었다.


하지만 가챠의 본질은 확률에 기반한 시스템 자체보다도 모 아니면 도 방식의 컨텐츠 소비 구조와도 밀접하게 맞닿아있다고 할 수 있다. 희귀하고 강력한 카드/요소들은 게임 플레이를 수월하게 만들어주며, 평범한 요소들은 게임 운신의 폭을 좁힌다. 문제는 이 사이의 간극을 매울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는가이다. 많은 게임들은 확률 그 자체를 통제하며, 동시에 게임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서 그 불확실한 요소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도 한다. 포켓몬스터의 교배 요소를 예로 들어보자:플레이어는 부모세대로부터 어떤 특성과 성격을 물려받은 포켓몬이 자식으로 나올지 모른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포켓몬 시리즈는 다양한 보완수단(붉은실, 메타몽, 프랜드 사파리 등등)을 게임에 추가함으로써, 게임을 이해하고 시스템을 십분 활용하면 누구나 자신이 필요한 포켓몬을 손에 넣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포켓몬에서 확률은 통제가능한 변수이며, 극복할 수 있는 난관이다. 


그러나 가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것이 전무하다:플레이어가 좋은 카드를 뽑지 않는 한, 게임은 풀리기 어렵다. 또한 좋은 카드일수록 일러스트레이션이나 게임 내에서 대우가 좋아진다. 즉, 게임 내에서 모든 요소들은 게임 시스템과 즐기는 플레이어 사이의 문화 양측에서 엄격한 카스트 문화를 구축한다. 수많은 가챠 게임에서 흔히들 이야기하는 '리세 마라'(게임에서 원하는 카드를 얻을때까지 계속 초기화하는 행위)는 이러한 가챠 시스템의 본질을 드러내는 문화라 할 수 있다.


대신 그 반대급부로 많은 모바일 가챠 게임들은 비디오 게임들과 다르게 공략을 최대한 단순화 시키고, 게임 내의 모든 재화가 '시간' 또는 '돈'을 통해서 얻도록 조절한다:게이머는 시간을 오래 투자하여 게임 내의 재원들을 얻어 좋은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하거나, 시간 대신 돈을 투자하여 원하는 것을 더 빠르게 얻게끔 한다. 물론, 초창기 가챠게임이었던 확산성 밀리언 아서가 보여주었던 그 노골적인 가챠 게임의 시스템은 이제 소녀전선이나 여타 다른 게임들의 계보로 이어져내려오면서 가챠에만 게임을 의존하지 않고 실제 게이머가 생각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여지를 넓히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문제는 제노블레이드 2의 가챠 시스템은 과거 가챠 시스템의 모 아니면 도식의 시스템과 문화를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필드 스킬을 뚫기 위한 몇몇 키스킬들은 레어 블레이드만이 갖고 있지만, 플레이어는 자신이 어떤 레어 블레이드를 얻게 될지 알 수 없는 구조다. 또한 양산형 블레이드(커먼)의 경우, 스킬이 랜덤으로 붙어서 어떤 경우는 레어블레이드를 능가하는 절륜한 블레이드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만나자 마자 야생에 방생(?)해버리게 된다. 또한 커먼 블레이드의 개성과 자신만의 이야기가 전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성과 자신만의 케릭터가 충만한 레어 블레이드보다 쉽게 버려지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커먼 블레이드들은 이런 블레이드들만 활용하기 위해 어거지로 만들어진 용병단 쪽으로 보내진다. 결국 이들은 돌리다 S랭크를 찍고 아이템만 회수한 뒤 버려진다. 블레이드와 드라이버 사이의 인연을 중요시 여긴다는 게임이, 레어 블레이드를 제외하면 모두 내다버리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시스템과 게임 서사 사이의 지독한 모순이라고 할 수 있다.


제노블레이드 2의 가챠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통제할 수 없기에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는 쪽'에 가깝다. 제노블레이드 2의 가챠 시스템과 용병단 시스템을 제외하면 대부분 그럭저럭 작동한다. 제노블레이드 2 자체는 MMO의 양식을 빌어 오랫동안 플레이할 수 있는 JRPG을 지향하고 있으며, 대부분 단순하고 반복적인 소일거리지만 뛰어난 전투와 아름다운 풍경들, 평화로운 분위기 등이 맞물리면서 계속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만든다. 그러나 가챠 시스템과 용병단 시스템은 게임 플레이를 목적없이 길게 만들며, 전체 시스템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그 외에도 구세대적이라는 표현을 넘어서 적페라고 불릴 수 있는 서사나 일본 게임 특유의 UI가 게임의 발목을 잡지만, 제노블레이드 2가 가장 아쉬운 부분은 게임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가챠 시스템과 그걸 어떻게든 활용해보려 한 용병단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